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누가 쓰죠? 희망편 vs 절망편 비교 분석
‘한국판 USDT’가 온다? K-스테이블코인의 기회와 한계를 짚어봅니다.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입니다. 대부분 미국 달러와 1:1 가치를 갖고 있습니다. USDT 같은 경우 암호화폐 시장에서 마치 기축통화처럼 사용되고 있죠.
그런데 최근 국내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연일 화제입니다. 빅테크, 전통 금융사 가릴 것 없이 이 시장에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새로운 코인을 만드는 차원을 넘어, 결제, 송금, 무역 등 금융 시스템 전반의 '디지털 전환'에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누가 뛰어드나? 대표 주자들
핀테크 & 빅테크: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토스
수천만 명의 사용자를 기반으로 한 결제 플랫폼을 가진 이들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기존 서비스와 결합해 시너지를 창출하려 합니다. 대표적으로 카카오페이 주가는 기대감에 한달만에 70% 까지 상승했죠.

전통 금융사: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등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시범사업에 참여하며 디지털 화폐 역량을 쌓아온 은행들은 기존 금융 시스템과의 안정적인 연동을 강점으로 내세웁니다. 기업금융, 외환 등에서 강점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결제망과 방대한 가맹점 네트워크를 가진 카드사 역시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수수료 절감과 새로운 결제 서비스 모델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원화 스테이블 코인 희망편: 그래도 'K-스테이블코인'이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전통 금융 시스템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습니다. 느린 정산, 높은 수수료, 영업시간에 묶인 송금 등 기존 금융의 한계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일상에 불편을 주죠. USDT를 비롯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혁신적이지만, 한국 경제의 관점에서는 본질적인 한계가 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 USDT의 한계
블록체인은 24시간 실시간 정산, 낮은 수수료, 위변조 불가능한 투명성이라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죠. 하지만 이 장점이 ‘달러 기반의 USDT’로는 한국 사용자에게 온전히 전달되지 않습니다. 여전히 환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가장 먼저 짚어야 할 것은 환전 구조의 비효율성입니다. USDT는 본질적으로 ‘디지털 달러’입니다. 국내 사용자들은 ‘원화 → 달러 = USDT’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구조에서는 필연적으로 환율 변동 리스크, 수수료, 시간 지연이 발생합니다. 글로벌 결제의 이상은 “국경 없는 송금”인데, 아이러니하게도 USDT를 쓰는 순간 우리는 또다시 국경(=환전)의 장벽에 부딪히게 됩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필요성
반면,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환전이 필요 없기 때문에 진짜 의미의 즉시 결제 시스템을 실현합니다.
미국에 자동차를 수출하고 대금을 받는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달러로 받은 돈을 국내로 들여오기 위해 은행을 거치고, 그 과정에서 외환 수수료도 작지 않습니다.
만약 블록체인 위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으로 즉시 대금을 정산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거래는 투명해지고, 며칠씩 걸리던 정산은 단 몇 분으로 줄어들며, 막대한 외환 수수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실물경제와의 연결성입니다. USDT는 해외 발행 코인이고, 국내 지급결제 시스템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예컨대, 부동산이나 채권처럼 원화 기준으로 평가되는 실물 자산을 거래할 경우, 이를 달러 기반의 USDT로 결제하면 불필요한 환율 리스크와 회계상의 복잡성이 커집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면 이러한 리스크를 없애고, 디지털 자산과 실물경제를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문제는 신뢰와 규제입니다. USDT는 전 세계에서 널리 쓰이고 있지만, 그 준비금의 투명성이나 운영 주체의 책임 문제는 끊임없이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습니다. 만약 USDT에 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하면, 한국 사용자나 기업은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국내 금융당국의 규제 안에서 발행되고 관리될 수 있어, 제도권 기반의 신뢰성과 소비자 보호 체계를 갖출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민간 기술이 아니라 국가 단위의 금융 인프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원화 스테이블 코인 절망편: 그걸 누가 써요?

이처럼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국내 경제 시스템에 꼭 맞는 해법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기술'과 '제도'는 다릅니다.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도, 작동할 수 있는 구조와 신뢰 기반이 마련되지 않으면 현실에서 힘을 쓰기 어렵습니다.
지금 상황에서 가장 큰 문제는 "과연 누가 KRW를" 쓰냐는 것입니다. USDT와 다르게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아직 사용처가 매우 제한적입니다. 특히 전 세계 통화량을 고려하면 말이죠.
거래소, 커머스, 해외 송금, 기업 정산 등 실제로 활용될 수 있는 인프라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그저 ‘좋은 아이디어’에 머무를 가능성이 큽니다.
더욱이 현재 논의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다수는 민간 기업이 발행 주체입니다. 그렇다면 이 기업들이 과연 자발적으로, 충분한 규모의 국채(준비금)를 꾸준히 매입하고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까요?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책임 있는 준비금 운용을 민간의 자율성에만 기대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직 발행 주체도 불분명하고, 제도적 장치도 미비한 상태입니다. 민간에서 성급하게 발행할 경우 테라-루나 사태처럼 시스템 불신을 낳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누가 발행하고, 어디서 쓰이고, 어떻게 규제될 것인가”라는 가장 기본적인 질문에 답하지 못한다면,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실제 경제에 기여하기보다 오히려 혼란을 키울 수도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입장은?
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최근 국정기획위원회에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인가 단계에서 한은을 포함하는 유관기관 간 합의 기반 독립 기구를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했습니다. *
초기 스테이블 코인에 반대 입장이었다가, 은행 중심 발행으로 후퇴했다가, 현재는 비은행 주체도 허용하는 방향으로 허들을 낮춘 것인데요. 앞으로의 변화에 더욱 관심이 쏠리는 이유입니다.
*스테이블코인 급물살에, 한은 “발행인가는 만장일치로”…플랜 B 제시(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
📌 정리하자면
-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코인 개발이 아니라, 미래 결제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필수 과제입니다 .
- K-콘텐츠, 무역 등 실질적으로 우리 경제의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일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죠.
- 결국 정부와 기업이 어떻게 '안전하고 편리한 디지털 원화'의 토대를 만들어가느냐가 성공의 열쇠가 될 겁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가상자산 투자는 원금 손실의 위험이 따를 수 있으므로, 투자 판단은 개인의 책임 하에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