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금융, 뭐가 다를까?

기존의 화폐 질서에 균열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금융, 뭐가 다를까?

구조부터 다르다: 중앙 VS 분산

전통 금융에서는 은행, 정부, 카드사, 증권사 같은 기관이 거래를 중개하고 기록을 관리하죠. 즉, 중앙이 신뢰를 보증해요.

반면 블록체인 금융은 탈중앙화구조예요. 스마트 계약으로 직접 거래하고, 모든 기록은 블록체인에 저장되어 누구나 검증할 수 있어요.


돈이 만들어지고 흐르는 방식이 다르다

전통 금융에서는 중앙은행이 경기 상황을 보면서 통화량을 조절해요. 경제가 힘들 때 돈을 풀어 경기를 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가끔은 돈을 너무 많이 찍어내서 물가가 오르고, 그 덕분에 부자들은 더 부자가 되고 없는 사람들은 더 힘들어지는 일이 생깁니다.

결국 전통 금융은, 돈을 가진 사람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는 시스템이 되어버리기 쉬워요.

블록체인 금융은 이 흐름에 살짝 반기를 듭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은 발행량이 2,100만 개로 딱 정해져 있습니다. 아무도 그 규칙을 마음대로 바꿀 수 없고, 코드가 통화 정책을 대신해요.

"누가 멋대로 돈을 만들어내서 시장을 흔들 수 없게 하자!"라는 의도가 담겨 있죠.

물론 블록체인도 완벽한 건 아니에요. 초기에 코인을 채굴하거나 빨리 투자한 사람들이 많은 코인을 보유하게 된 건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해도, 블록체인은 최소한 모두에게 같은 규칙을 적용하는 걸 목표로 해요.


진입 장벽의 차이

전통 금융은 기본적으로 선별된 사용자만 입장할 수 있는 공간이에요. 신분증, 주소지, 소득 증빙, 신용등급 확인 같은 여러 조건을 통과해야 해요. 승인 과정도 만만치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금융 시스템에 접근조차 할 수 없는 사람들도 꽤 많아요. 특히 개발도상국이나 소득이 낮은 사람들은 이 장벽이 더욱 높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반면, 블록체인 금융은 다릅니다. 지갑 하나만 만들면, 국적도, 소득도, 신용등급도 묻지 않아요. 어디에 살든, 얼마를 벌든, 누구든 참여할 수 있습니다. 즉, 학습만 하면 블록 체인 금융의 문은 누구에게나 열려있으니 기회의 평등성만 놓고 보면 압도적인 차이가 있는 셈이죠.


실제로 ‘다르게’ 쓰이고 있다

블록체인 금융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에요. 이미 실제 세계 곳곳에서 기존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하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
연간 인플레이션이 100%를 넘는 혼란 속에서, 사람들은 급여를 받자마자 재빨리 USDT(디지털 달러)로 바꿔요. 중앙은행이 관리하는 자국 통화보다,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화폐를 더 신뢰하는 거죠. 돈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사람들이 선택한 건, 더 이상 국가가 찍어내는 지폐가 아니에요.

나이지리아
정부가 암호화폐 사용을 금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젊은 세대는 여전히 블록체인 지갑을 씁니다. 해외 송금도, 결제도 은행을 거치지 않고 처리해요. 왜냐하면 은행보다 더 빠르고 싸기 때문입니다.

중국 농촌 지역
디지털 위안(CBDC)에 대한 불신이 퍼지는 가운데, 일부 주민들은 탈중앙형 블록체인 지갑을 활용해 자산을 자유롭게 관리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모든 돈의 움직임을 감시당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이 선택한 작은 탈출구예요.


글로벌 권력 구조와도 연결돼 있다

전통 금융은 달러를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세계의 거의 모든 무역과 금융 거래는 달러 기반이고, 이는 미국의 정치·경제 영향력이 전 세계에 미치는 기반이 되죠.

그런데 민간에서 탄생한 스테이블 코인(USDT, USDC)은 중앙은행 없이도 디지털 달러처럼 쓰이고 있어요. 달러 시스템의 권한이 코드와 커뮤니티로 분산되기 시작한 거죠. 이른바 '탈미국화된 달러'라고 볼 수 있어요. '달러의 사용 권한'이 미국 손을 떠나고 있다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예요.


📌 정리하자면

  1. 전통 금융은 중앙이 만든 규칙 위에서, 블록체인 금융은 모두가 검증 가능한 코드 위에서 돌아가요.
  2. 아르헨티나·나이지리아·중국 등에서, 블록체인은 현실의 대안으로 이미 작동 중이에요.
  3. 이건 단순한 디지털화가 아니라, 세계적으로 '화폐 질서에 균열'이 일어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어요.

해당 콘텐츠는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가상자산 투자는 원금 손실의 위험이 따를 수 있으므로, 투자 판단은 개인의 책임 하에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주)코인원 | 대표이사 차명훈, 이성현

사업자등록번호 261-81-07437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파크원 타워1 45층, 46층 (우 07335)

Copyright © Coinone, Inc. All rights reserved